요가공부/요가이론

요가의 기원과 역사

yogaram 2024. 11. 8. 23:55

 

요가의 기원과 역사

 

 

 

요가는 약 6000년 전 고대 인도에서 전래된 것으로 전해져 오지만, 정확하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기원전 2500년경 인더스 문명의 본거지로 추정되는 모헨조다로와 하라파의 유적에서 발견 출토된 유물에서 요가의 연화좌를 한 시바 신상과 가장 오래된 운문서인 리그베다의 기록을 토대로 찾을 수 있다.

 

모헨조다로 유적에서 발견된 인장과 시바신의 모습

 

요가를 인도 종교사상에서 살펴본다면 고대 인도인들은 종교적 신앙심을 모태로 자연신들에게 찬미와 제사를 지냈고, 그 노래와 의식들을 모은 책을 <베다>라 부르며 이 베다 경전에 요가가 원시 형태로 등장한다.

 

* 베다 경전은 고대힌두어로 요가에 관해 쓰여진 초기문헌으로, 요가의 의미가 처음 등장한다. '멍에를 씌우다. 하나로 만들다' 나 자신이라는 의식이 성스러운 본질에 묻혀 지각이 사라지는 순수한 상태를 자기 초월의 상태라고 하며 지각과의 합일 상태를 의미한다.

 

* 멍에 : 두 마리의 소나 나귀 등의 목에 얹어 쟁기나 수레를 끄는 목제 도구

 

베다 경전과 멍에를 씌운 소의 모습

 

 

이후 불교와 자이나교의 출현으로 신과의 접근 방식이 바뀌어 계급적 구분이나 독점적인 신분의 제례의식에서 누구나 동등하게 개인의 수행으로 신들의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는 대중적 생활철학으로 변화하였고, 이 실천 방식으로써 요가 심신수행법이 사용되고 발전되었다.

 

이 시기에 형성된 세계 최초의 생활철학서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은 요가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하며, 요가라는 용어가 최초로 기법적인 의미로써 쓰여진 것은 기원전 6~7세기경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타이트리야 우파니샤드>에서 기원한다. 우파니샤드적 사유와 상키야 철학이 발견한 진리에 대한 이론을 요가에서 수용하고 실천하는 정신적 기법으로 승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우파니샤드와 상키야 철학

 

 

기원전 600년경에 구전으로 전해지다 굽타 왕조 때, 기록으로 정리한 <바가바드 기타>에는 요가의 종류가 구분되어 있고 실천 방법도 자세히 적혀 있었으며, 인도 요가학파의 경전인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서는 요가의 수련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바가바드 기타와 요가수트라의 요가 8단계

 

 

시기를 달리하며 수많은 종교철학과 사상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되는 과정에서 계급제도를 배격하였으며, 평등과 개인 수행의 실천을 주장한 불교의 확장과 더불어 요가가 더욱 널리 전파되고 보편화되었다.

 

우리나라에 요가가 전해지게 된 것은 1세기경 쿠샨 왕조 때, 중국의 후한에 불교가 전해지면서 요가도 함께 소개되었다. 이어 중국의 동진에서 백제로, 고구려에서 신라로 불교가 전해지면서 삼국에 확산되었다. 불교 수도원에서는 몸과 정신을 통합하여 명상과 몸의 유연성을 중시하는 요가적 요소, 그리고 호흡법을 중심으로 한 요가 수련이 이뤄졌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 문무왕때 경주 부근에 단을 세우고 명랑법사가 밀교승과 함께 비법을 행하여 왜군을 물리쳤으며, <왕오천축국전>을 쓴 혜초도 요가 밀요로 도통하였고, 고구려의 왕건도 요가에 심취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950년대 이후에는 한국에서도 요가 교육이 이뤄지고, 요가 도장이 설립되었다. 대중에게 요가가 보급되면서 요가를 통한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해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현대 요가가 자체적인 발전과정을 거쳐 독자적인 특색을 가지게 되었다.